블로그 이미지
Leeway is... the freedom that someone has to take the action they want to or to change their plans.
maetel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total
  • today
  • yesterday

Category


my summary:

The Operations 오퍼레이션
= 인터페이스의 상위에서 벌어지고 있는 기술의 단계, 즉 응용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공통된 일반적 기술이나 명령어
= 컴퓨터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이면서 동시에 컴퓨터 시대에 일하고 생각하고 존재하는 방식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실현되기 전에 개념으로서 존재


"사회와 소프트웨어 사용과 설계 사이의 의사소통은 양방향으로 진행된다."

- 생산자와 사용자가 중복되는 경우가 급속도로 증가
  eg. 게임 패치


* 선택 Selection - Menus, Filters, Plug-ins
: 메뉴에서의 선택이 순수 창조를 대신
: 전자 미디어와 디지털 미디어에서 예술 창작은 기성의 요소들에서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 뉴미디어는 미리 정의된 수많은 메뉴에서 가치를 선택하는 사회의 정체성 논리를 가장 잘 표현해준다.

* 합성 Compositing
: 합성의 결과는 가상공간이다.
: (합성과 선택 사이의) 상호작용은 뉴미디어 객체가 여러 배율로 모듈식으로 구성되었기에 가능해졌다.
: 요소들은 생산과정 전반에 걸쳐 개별적인 정체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쉽게 수정되고 대체되고 삭제된다.
- 모듈성
- 연속성

* 원격행위 Teleaction
<= 원격현전 : 물리적인 현실을 실시간으로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
: 원격현전의 본질은 반존재 anti-presence이다.
- 원격통신: 전자 원격통신 + 컴퓨터 => 신호로 실시간 객체 조종


posted by maetel
2007. 2. 13. 00:45 Context
TP: What is Digital Cinema?
http://www.heise.de/tp/r4/artikel/6/6110/1.html
http://www.manovich.net/TEXT/digital-cinema.html

 
posted by maetel
Lev Manovich
http://manovich.net/

The Language of New Media
The MIT Press, 2001

뉴 미디어의 언어
서정신 옮김
생각의 나무, 2004

뉴미디어의 언어 상세보기
레프 마노비치 지음 | 생각의나무 펴냄
뉴미디어의 영상미학에 대한 상세하고 포괄적인 최초의 분석서. 뉴미디어 미학의 근원을 회화, 사진, 영화 그리고 텔레비전에서 찾아내면서 디지털 이미징, 인간-컴퓨터 인터페이스(HCI), 하이퍼미디어, 컴퓨터게임, 합성, 애니메이션, 그리고 가상세계를 살펴보는 책이다. 책의 각 부분은 복합적이지만 접근 가능한 입구를 만들어 우리가 뉴미디어 형식의 역사 안으로 들어가게 해주고, 그러한 형식이 그 자체로만 고립되지 않고



8쪽 - 한국어판 저자 서문
뉴미디어의 언어, 보다 정확히 말하자면 여러 개의 별개 언어들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디지털 컴퓨터라는, 전세계적 정보사회의 새로운 기계가 가져온 보다 새로운 기술만이 아니라 영화, 연극, 활자도서 등 이미 잘 자리잡은 문화형식의 기술과 기억, 전문성을 통합하고 있는 일종의 혼합종이기 마련이다.


원천자료의 개방
하이퍼텍스트
1990년대 사이버 예언가들의 미래주의
문화적 상위구조
산업적 근대주의
절충주의
아방가르드 예술가, 미래파

정보미학
타불라 라사 Tabula Rasa 백지상태
이데올로기의 해이 현상
포스트모던

로버트 벤츄리, 스코트 브라운, 이제 나우와 공저 <라스베가스의 교훈 Learning From Las Vegas> 1972

세계화된 국제성

10-11쪽
정보미학(즉, 과거 산업사회의 문화와는 구별되는 정보사회의 새로운 문화)는 이미, 아니면 앞으로 산업적 근대주의와는 판이한 논리를 갖고 있거나 갖게 되리라 예상한다. 이러한 논리는 다양한 조합을 통해, 과거의 것과 새로운 것을 창조적으로 병치하려는 욕구이다. 본서는 이러한 혼합성의 미학이 추진시키고 있는 현대문화의 한 단면, 즉 네트워크로 연결된 디지털 컴퓨터와 이미 자리를 잡고 있는 문화 형식이 교차되는 단면을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재혼합 remix
현대문화는 세 개의 핵심적 과정, 즉 세 가지 종류의 재혼합에서 바라볼 수 있다.
첫번째 재혼합은 포스트모더니즘으로, 주어진 미디어 안이나 문화 형식(음악, 건축, 패션 등) 안에 과거 문화의 내용과 형식을 재혼합하는 것이다.
두번째 재혼합은 세계화로, 한 나라의 문화 전통, 특성, 그리고 감수성을 그 안에서 뿐만이 아니라, 새로운 세계화된 국제성의 스타일과 상호작용하도록 섞어내는 것이다.
세번째 재혼합은 문화와 컴퓨터의 재혼합이다. 다양한 문화 형식의 인터페이스와 새로운 소프트웨어 기술의 재혼합이다. 이 문화 논리가 새로운 이유는 과거를 지워버리려 했던 근대주의적 새로움 때문이 아니라 그와 반대로 진행되고 있는 재혼합 과정의 광범위함, 속도, 연관된 요소들 자체의 새로움 때문이다.

12쪽 - 역자 서문

디지털 영화란 무엇인가 What is Digital Cinema?

텔레폴리스  telepolis

마노비치 <작은 영화 Little Movies>
:실험적 디지털 시네마 작품

한국기호학회
한국영상문화학회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13쪽
디지털이라는 새로운 미디어는 몰입을 유도하는 영화적 인터페이스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의 하이퍼텍스트적 구조를 갖고 있는 새로운 문화의 내용을 만들어냈다. 또 그 문화의 내용은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14쪽 - 추천서 '뉴미디어 영상미학에 대한 최초의 분석서'
마크 트라이브 Mark Tribe (Rhizome.org 창시자)

예술은 항상 기술과 연관되어 왔고, 예술가는 새로운 기술이 나타나면 그것을 최초로 수용하는 사람이었다. 우리는 새로운 기술이 어떤 일을 할 수 있는지를 보고, 그 기술이 기술자들이 의도했던 영역을 넘어서도록 하고, 기술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이해하며, 그 기술의 효과를 되새겨 보고, 또 그 기슬이 그것의 한계를 넘어서도록 밀고 나가며, 그 기술에 익숙해지기 위해 만지작거린다. (중략)
인터넷은 협동 작업, 민주적 배포, 그리고 참여적 경험 등의 새 유형을 가능하게 해주는 잠재력이 특히 잘 여물어 있다.


16쪽

마노비치 <ON TOTALITARIAN INTERACTIVITY 전체주의적인 상호작용성에 대하여>

마노비치 <프로이트 리시츠키 내비게이터 Freud-Lissitzky Nabigator>


넷 아트

17쪽
본서는 뉴미디어를 영상문화의 역사 안에 집어넣고, 뉴미디어와 그 이전 형식 사이의 연관성과 차이점을 구체화시키고 있다.


digital imaging
HCI
hypermedia
computer game
합성
animation
원격현전
가상 세계

그리피스 <국가의 탄생>: 영화


posted by maetel
The Language of New Media
Lev Manovich
The MIT Press, 2001

뉴 미디어의 언어
서정신 옮김
생각의 나무, 2004년

사용자 삽입 이미지

In this book Lev Manovich offers the first systematic and rigorous theory of new media. He places new media within the histories of visual and media cultures of the last few centuries. He discusses new media's reliance on conventions of old media, such as the rectangular frame and mobile camera, and shows how new media works create the illusion of reality, address the viewer, and represent space. He also analyzes categories and forms unique to new media, such as interface and database.

Manovich uses concepts from film theory, art history, literary theory, and computer science and also develops new theoretical constructs, such as cultural interface, spatial montage, and cinegratography. The theory and history of cinema play a particularly important role in the book. Among other topics, Manovich discusses parallels between the histories of cinema and of new media, digital cinema, screen and montage in cinema and in new media, and historical ties between avant-garde film and new media.

Lev Manovich is Professor of Visual Arts,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His book The Language of New Media (MIT Press, 2001) has been hailed as "the most suggestive and broad ranging media history since Marshall McLuhan."


posted by maet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