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Leeway is... the freedom that someone has to take the action they want to or to change their plans.
maetel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total
  • today
  • yesterday

Category

'Literacy'에 해당되는 글 37건

  1. 2012.02.23 C. P. Snow "The Two Cultures and the Scientific Revolution"
  2. 2011.06.09 Robert L. Solso [The Psychology of Art and the Evolution of the Conscious Brain]
  3. 2011.05.17 Noah Wardrip-Fruin and Nick Montfort's edition [The New Media Reader]
  4. 2011.05.03 Italo Calvino
  5. 2010.03.29 Stephen Wilson [Information Arts]
  6. 2008.01.18 사이 <과학기자 인큐베이터>
  7. 2008.01.09 조만수 <포스트드라마 시대의 연극 : 다매체 퍼포먼스의 서술형식>
  8. 2007.11.28 [Rutsky] Week2: Metropolis, Technology, and the Other
  9. 2007.11.16 [R. L. Rutsky] Cine 344: Film Genres: Science Fiction Film
  10. 2007.10.04 [이안] 뉴미디어 아트와 영화
  11. 2006.06.05 research
  12. 2006.05.29 [성기완] 11. 실천으로서의 노이즈
  13. 2006.05.08 [성기완] 8. 팝의 역사와 하위 문화의 흐름
  14. 2006.05.01 [성기완] 7. 사운드 트랙 - 어둠 속의 그 소리: 영화음악론 서설
  15. 2006.04.27 [심보선] 7. 창작과 소비, 제로섬 게임 혹은 윈윈(Win-Win) 게임?
  16. 2006.04.26 The Death of the Author (by Barthes)
  17. 2006.04.24 [성기완] 6. sequencing과 sampling - 반복의 미학
  18. 2006.04.20 [심보선] 6. 인터랙티비티: 신화 혹은 현실? (2)
  19. 2006.04.17 [송현주] 5. 전자악기, MIDI, 디지털 오디오
  20. 2006.04.13 [심보선] 5. 인터랙티비티: 신화 혹은 현실? (1)
  21. 2006.04.13 The Myth of Interactivity or the Interactive Myth? : Interactive Film as an Imaginary Genre (by Kristoffer Gansing)
  22. 2006.04.10 [성기완] 4. DJ로서의 작가 (2) - Layering
  23. 2006.04.06 [심보선] 4. 새로운 갈등, 투쟁, 통제
  24. 2006.04.03 [성기완] 3. DJ로서의 작가 (1) - 롤랑 바르트: Text Layering
  25. 2006.03.30 [심보선] 3. 뉴미디어의 잠재력
"The Two Cultures and the Scientific Revolution"
Charles Percy Snow
Cambridge U Press, 1964


http://en.wikipedia.org/wiki/The_Two_Cultures

cf.
G. Rickey Welch, Professor & Joseph N. Tatarewicz, Associate Professor and Director, Human Context of Science & Technology Program, UMBC - C.P. Snow's The Two Cultures: A Fifty Year Perspective



'Literacy > stephenWilson [information ar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ephen Wilson [Information Arts]  (0) 2010.03.29
posted by maetel
2011. 6. 9. 20:36 Literacy
The Psychology of Art and the Evolution of the Conscious Brain
Robert L. Solso
The MIT Press, 2003
google books: http://books.google.com/books?id=z_cQJgAACAAJ


APS(Association for Psychological Science): Robert L. Solso (1933-2005)  


- To develop connections between cognitive psychology and the related fields of anthropology, computer science, education, linguistics, neuroscience, and philosophy

Stephen E. Palmer http://psychology.berkeley.edu/faculty/profiles/spalmer.html
Visual Perception and Aesthetics Lab @UCB http://socrates.berkeley.edu/~plab/

http://en.wikipedia.org/wiki/Vision_science

[Cognition and the Visual Arts] The MIT Press, 1994 - google books: http://books.google.com/books?id=zaQCKizo0_8C



Preface

“Art and cognition, and the brain, and consciousness, and evolution have all stood as complex mirrors, all reflecting and amplifying each other.”

In searching for a rational connection between consciousness and art, it was necessary to examine the evolution of the human brain and cognition. Out of these scientific explorations, I have developed a new model describing the evolution of consciousness and its relationship to the emergence of art.


conscious AWAREness

We have a pretty good idea, for example, as to when and how the human brain evolved and when early art emerged, and we have a sound understanding of the workings of the sensory-cognitive system. With this knowledge in hand, it is propitious to consider the evolution of the human brain and the emergence of AWAREness, as they might be related to art. As the brain increased in size and capacity during the upper Pleistocene, additional components of consciousness were added or developed. People became more AWARE in the sense that they were more cognizant, not only of a world that existed in contemporaneous actuality, but of a world that could be imaged. That change took humankind on a wondrous voyage. Men and women could imagine nonpresent things such as what might be behind a bush, where fresh water might be found, and what a nonpresent bull might look like. While other animals had some forms of consciousness, the visionary aptitude of humans to extend consciousness beyond responding to moment-to- moment sensory experiences was spinning into new possibilities previously unseen on this earth. Equipped with expanded conscious AWAREness, people first created art and then technology. The beginning of art is a clear manifestation of the brain’s capacity for imaginative behavior.

All factors—brain, anthropology, cog- nition, and art—were tied together by human consciousness.



Introduction: Art . . . a Tutorial












 
posted by maetel
2011. 5. 17. 23:42 Literacy
The New Media Reader
Edited by Noah Wardrip-Fruin and Nick Montfort 
The MIT Press, February 2003

google books: http://books.google.com/books?id=DQYXoRx9CcEC


Noah Wardrip-Fruin  http://games.soe.ucsc.edu/people/noah-wardrip-fruin

Nick Montfort  http://nickm.com




A User's Manual


http://jordanmechner.com/karateka/
http://en.wikipedia.org/wiki/Karateka_(video_game)
http://www.youtube.com/watch?v=GHNT7mR-8d0

cf. http://en.wikipedia.org/wiki/Carmen_Sandiego





 
posted by maetel
2011. 5. 3. 11:31 Literacy
http://en.wikipedia.org/wiki/Italo_Calvino

http://des.emory.edu/mfp/calvino/

http://www.italo-calvino.com/


- video
The distance from the moon - Italo Calvino http://youtu.be/EZ9cEZhiGPw
JOHN TURTURRO reads a short story by Italo Calvino http://youtu.be/bqHU9oh0hMA


posted by maetel
information arts: intersections of art, science, and technology
stephen wilson
The MIT Press

googleBooks

http://userwww.sfsu.edu/~swilson/book/infoartsbook.html



Biology
(microbiology, genetics, animal and plant behavior, the body, brain & body processes, body imaging, and medicine)

Physical Sciences
(particle physics, atomic energy, geology, physics, chemistry, astronomy, space science, and GPS technology)

Mathematics and Algorithms
(algorists, fractals, genetic art, artificial life)

Kinetics
(conceptual electronics, sound installation, and robotics)

Telecommunications
(telephone, radio, telepresence, web art)

Digital Systems
(interactive media, VR, alternative sensors - touch, motion, gaze, personal characteristics, activated objects, haptics, artificial intelligence, 3-D sound, speech, scientific visualization, surveillance, information systems)


http://en.wikipedia.org/wiki/Information_art

http://www.leonardo.info

http://www.isastorganization.org/

http://en.wikipedia.org/wiki/C._P._Snow


Roger F. Malina (Chairman, Leonardo/ISAST) :  Perhaps in our lifetime we will see the emergence of "new Leonardos", creative individuals or teams who will not only develop a meaningful art for our times but also drive new agendas in science and stimulate technological innovation that addresses today's human needs.


Joel Slayton:  ... Although art and science share many characteristics, a special role for the arts exists in the evolution and deployment of technology -- the implication being that by operating outside the conventions of traditional practice, unique and significant research enterprises can and will unfold. Information Arts helps us understand on a deeper level that experimental research is culturally necessary and serves to transform how to simulate, interact with, and experience the world.



posted by maetel
2008. 1. 18. 15:22 Literacy
문지문화원 사이 2008 겨울 아카데미

과학기자 인큐베이터 : 바이라인 이름 달기 6주 프로젝트
   
      박권수, 장경애, 김훈기, 이영완, 장성환, 이규연
      2008년 1월 18일부터 6주간  
      매주 금요일 19:00 ~ 22:00
      과학기자, 전문번역가, 과학저널리스트, 과학출판인을 꿈꾸는 대학생 및 일반인

한국에서 과학저널리스트가 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과학글쓰기 기초부터 탐사보도까지 6주 집중 코스를 마친 뒤 자신의 이름을 단 과학기사를 출고한다.

과학자들이 연구하는 전문분야는 너무 어려워서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어렵다는 생각이 널리 퍼져있다. 실제로 복잡한 수식이 가득한 전문적인 논문을 일반인들이 읽어내기는 어렵다. 하지만 과학 연구의 규모가 커지면서 많은 자원이 요구되는 상황이고 그것을 조달하려면 어려운 과학 내용을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서 일반인들의 참여를 요청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리고 과학 연구가 실험실 안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엄청난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그것을 많은 사람들에게 이해시키고 동의를 구하는 것도 중요한 일이 됐다.
어려운 과학의 내용을 왜곡하지 않으면서 일반인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매개하는 역할에 대한 요구는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과학기자, 과학전문번역가, 과학칼럼니스트 뿐만 아니라 모든 과학 연구기관은 그들의 연구와 일반인들 사이를 잇는 훌륭한 커뮤니케이터를 가져야 하는 상황이다. 이런 수요에 부응하여 과학과 일반인 사이를 이을 수 있는 인력을 철저한 실전 위주의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키워내는 것이 이 프로그램의 목적이다.

프로그램 특징
○ 철저하게 실전 위주의 과학기자 교육프로그램
○ 대학 과학글쓰기 담당 교수와 현직 기자의 생생한 강의
○ 우수 기사는 동아사이언스 홈페이지의 과학기사로 채택
○ 성적우수자는 추후 동아사이언스 인터넷 통신원으로 활동 가능

* 수업중 제출한 과제와 수업중에 작성한 기사는 전문기자가 첨삭지도 합니다.
**수강자 준비물 - 실습용 노트북 (무선 인터넷 기능 필요)
***선착순 20명으로 마감합니다.


박권수 박사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학예연구사, 연세대 과학글쓰기 강사)

장경애 편집장 (동아사이언스 과학동아 편집장)

김훈기 팀장 (동아사이언스 신문(동아일보)팀 팀장, 전 과학동아 편집장)

이영완 기자 (조선일보 과학기자)

장성환 대표 (디자인 스튜디오 203 대표, 전 과학동아 디자인팀장)

이규연 기자 (중앙일보 탐사기획 에디터, 한국탐사언론인협회 회장 )


posted by maetel
문지문화원 사이 2008 겨울 아카데미

포스트드라마 시대의 연극 : 다매체 퍼포먼스의 서술형식
   
      조만수  
      2008년 1월 9일부터 6주간      매주 수요일 19:00 ~ 21:00


흔히 현대 연극의 경향을 언어, 텍스트, 드라마의 역할이 축소되는 포스트드라마 퍼포먼스의 시대로 정의하곤 한다. 더불어, 현대 연극은 인접장르와 결합된 새로운 형식으로 변모해가는데 특히 영상매체와 결합되어 흥미로운 성과를 산출하고 있다. 본 강좌는 넓게는 포스트 드라마 퍼포먼스의 이론적 기초를 짚어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상매체와 결합된 다매체 퍼포먼스의 기본 서술구조를 도출해보고자 한다. 새로운 실험적 연극, 대안적 연극을 모색하는 연극집단, 혹은 극작가들과 함께 새로운 연극적 형식의 서술구조를 모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우선 드라마 연극으로부터 포스트드라마 시대의 퍼포먼스로 이행을 강제하는 요건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포스트 드라마 퍼포먼스가 갖추어야 할 기본적 전제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더불어 다매체 퍼포먼스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검토한다. 하지만 가장 기본적인 목표는 이처럼 다양한 스펙트럼 속에서도, 다매체 퍼포먼스의 기본 문법을 확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작품으로 로베르 르파쥬의 <달의 저편>, <안데르센 프로젝트>, 그리고 레 되 몽드(Les Deux Mondes)극단의 <2191번의 밤>이 분석의 대상이 될 것이다.


조만수
연극평론가, 단국대 연극영화학부 겸임교수

조만수는 89년 서울대학교 불문학과를 졸업하고, 2001년 프랑스 낭시2대학교에서 고전주의 희곡을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수여했다. 서울대, 한국예술종합학교 등에서 희곡, 연극이론 관련 강의를 해왔으며, 현재 단국대학교 연극영화학부 겸임교수이다. 『객석』, 『한국연극』, 『컬처뉴스』 등에 고정 연극리뷰를 연재하고 있으며, 다수의 작품에 드라마터지(드라마 트루기)로서 참여하였다.




1주              드라마연극/포스트드라마 퍼포먼스
현대 연극에서 드라마가 해체되고 새로운 공연형식이 자리잡는 과정을 역사적으로, 이론적으로 고찰해 본다.

2주           포스트 드라마 퍼포먼스의 기본 문법
포스트 드라마 퍼포먼스의 다양한 형식적 스펙트럼을 열거, 검토해본다.

3주           영상과 연극의 결합 양식
지난 시간에 확인한 다양한 형식 중 특히 영상과 무대를 결합하는 시도들을 검토해 본다.

4주           작품 분석
영상과 연극의 결합 양식 중 가장 기초적이고 구체적인 형식으로서 두 극단의 작업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둘로베르 르파쥬와 레 되 몽드 작업을 시나리오와 영상으로 확인하면서 영상과 무대를 섞는 기본적인 서술형식을 도출한다.

5주           작품 분석
영상과 연극의 결합 양식 중 가장 기초적이고 구체적인 형식으로서 두 극단의 작업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둘로베르 르파쥬와 레 되 몽드 작업을 시나리오와 영상으로 확인하면서 영상과 무대를 섞는 기본적인 서술형식을 도출한다.

6주           적용의 시도
간략한 줄거리를 짜고 무대와 영상이, 서사와 대화가 어떻게 결합되어 이 줄거리를 공간화할 것인지를 살펴본다.





#4
2008-01-30 @문지문화원 사이

독백의 욕구 => 행동으로 치환


posted by maetel
WEEK 2: Metropolis, Technology, and the Other

Readings:
•    David Desser, “Race, Space and Class: The Politics of Cityscapes in Science-Fiction Films”
•    R. L. Rutsky, "Metropolis: Between Modernity and Magic" in Film Analysis: A Norton Reader, W.W. Norton, 2005.

Screenings: Metropolis (26 Germany) Fritz Lang (124 m) cont.
Alphaville, une Žtrange aventure de Lemmy Caution (65 France) Jean-Luc Godard (95 m)


posted by maetel
R. L. Rutsky, the Cinema Department at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fall 2007
Cine 344: Film Genres: Science Fiction Film


Prof. R. L. (Randy) Rutsky

Fall 2007
Office: ESP (Ethnic Studies & Psychology) 423
Office Ph: 405-3400
Office Hours: W 4:15-5:30, Th 2-5:30
E-Mail: rlrutsky@sfsu.edu
Class Time: W 1:10-3:55



COURSE DESCRIPTION: This course will examine contemporary science-fiction film,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issue of what constitutes, and is opposed to, “the human.” In this context, the course will also focus on representations of gender, sexuality, and race within science fiction. Films to be discussed will include Forbidden Planet, Blade Runner, Ghost in the Shell, The Matrix.



COURSE SCHEDULE:
The following schedule is subject to change. The instructor reserves the right to make
changes to the class during the term.

WEEK 1: INTRODUCTION
8/29:
Screenings: Metropolis (26 Germany) Fritz Lang (124 m)

WEEK 2: HUMAN LIFE/MECHANICAL LIFE
9/5:
Readings:
•    David Desser, “Race, Space and Class: The Politics of Cityscapes in Science-Fiction Films”
•    R. L. Rutsky, "Metropolis: Between Modernity and Magic"
Screenings: Metropolis cont. Alphaville, une Žtrange aventure de Lemmy Caution (65 France) Jean-Luc Godard (95 m)

WEEK 3: THE POEM AND THE COMPUTER
9/12:
Readings:
•    Richard Roud, "Anguish: Alphaville"
•    Michael Benedikt, "Alphaville & Its Subtext"
Screenings: Alphaville cont.
    Star Trek: The Next Generation, “The Best of Both Worlds, 1 & 2” (90 US) Cliff Bole (100 m)

WEEK 4: RESISTANCE IS FUTILE
9/19:
Readings:
•    Julia Witwer, "The Best of Both Worlds: On Star Trek's Borg"
Screenings: “The Best of Both Worlds" cont.
    Blade Runner: The Director’s Cut (82/92 US) Ridley Scott (117 m)

WEEK 5: REPLICATION AND LIFE
9/26:
Readings:
•Scott Bukatman, “Replicants and Mental Life”
Screenings: Blade Runner cont.

WEEK 6: TECHNOBODIES
10/3:
Readings:
•Susan Napier, "Doll Parts: Technology and the Body in Ghost in the Shell"
Screenings: Ghost in the Shell [Kokaku Kidotai] (95 US) Mamoru Oshii (82 m)

WEEK 7: SIMULATION, THE MATRIX, AND THE HUMAN
10/10:
Readings:
•Jean Baudrillard, from Simulacra and Simulations
•Rebecca Ascher-Walsh, "Reality Bytes"
•Patricia Mellencamp, “The Zen of Masculinity—Rituals of Heroism in The Matrix” NOTE: On your own, view The Matrix (99 US) Andy & Larry Wachowski (136 m) for discussion in class this day.
Screenings:. Begin Starship Troopers (97 US) Paul Verhoeven (129 m)

WEEK 8: ALIEN FEARS
10/17:
Readings:
•J.P. Telotte, “Heinlein, Verhoeven, and the Problem of the Real”
Screenings: Starship Troopers cont.
** Mid-Term (Take-Home) Assignment Due**

WEEK 9: MONSTERS FROM THE ID
Readings:
10/24:
•J.P. Telotte, "Science Fiction in Double Focus: Forbidden Planet"
Screenings: Forbidden Planet (56 US) Fred M. Wilcox (98 m)

WEEK 10: THE MONSTROUS (MATERNAL) OTHER
10/31:
Readings:
•Robin Wood, “The American Nightmare: Horror in the 70s”
•Barbara Creed, “Kristeva, Femininity, Abjection” NOTE: On your own, view Aliens (86 US) James Cameron (137 m) for discussion in class this day.
Screenings: Alien Resurrection (97 US) Jean-Pierre Jeunet (109 m)

WEEK 11: MIXING WITH ALIENS
11/7:
Readings:
•Catherine Constable, “Becoming the Monster’s Mother” (edited)
Screenings: Alien Resurrection cont. Begin X-Men (2000 US) Bryan Singer (104 m)

WEEK 12: (WE ARE) MUTANTS
11/14:
Readings:
•Wikipedia, “Mutant (Marvel Comics)”
•Adam B. Vary, “Mutant is the New Gay”
•Nick Gillespie, “Make Mine Mutants!”
Screenings: X-Men cont.

WEEK 13: THANKSGIVING HOLIDAY
11/21: HOLIDAY

WEEK 14: FUTURE AND PRESENT OTHERS
11/28:
Readings:
•Wikipedia, “Children of Men”
Screenings: Children of Men (06 US/UK/Japan) Alfonso Cuar—n (109 m)

WEEK 15: A HUMAN PROJECT?
12/5:
Readings:
•Slavoj Zizek, “Comments on Children of Men, DVD transcript”
•Slavoj Zizek, “The Clash of Civilizations at the End of History”
Screenings: Paprika (06 Japan) Satoshi Kon (90 m) IF AVAILABLE

WEEK 16: INNER OTHER
12/12:
Readings:
•Midnight Eye, Inteview with Satoshi Kon,
•Manohla Dargis, Review of Paprika
Screenings: Paprika cont. if necessary
** Final Exam (Take-Home) Due **

© 2007, R. L. Rutsky

posted by maetel
2007. 10. 4. 13:41 Literacy
19 세기 영화의 탄생부터 그 역사적 과정을 추적하여 당시의 예술가들에게 새로운 표현 도구로서 사용된 영화의 맥락을 짚어보는 과목이다. 또한, 역사적으로 회자되는 영화를 함께 보며 영화가 지닌 새로운 미디어로서의 차별되는 의미와 기능을 살펴보기도 할 것이다.

[1부] 1895-1960년대 영화사 이해
1강  19세기 뉴미디어아트, 영화: 매체미학과 벤야민
2강  1920년대 러시아 무성영화: 애이젠슈타인, 지가 베르토프
3강  유럽아방가르드영화: 뒤샹, 달리, 만 레이, 페르낭 레제
4강  1960년대 미국 언더그라운드영화: 스탠 브래키지, 케네스 앵거 외
5강  영화감독과 미술: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장 뤽 고다르, 피터 그리너웨이

[2부] 작가연구 Artist's film and video (AFV series)
6강  AFV 1920-1960: 뒤샹, 워홀, 백남준
7강  AFV 유럽 : yBa출신 Douglas Gordon, Chris Marker외
8강  AFV 미국 : Mattew Barney, Jeremy Blake 외
9강  AFV 아시아 : 중국 일본 한국

[3부] Cutting Edge: Cine+Media Art Mapping
10강  Animation@New Media Art 과거와 현재
11강  미디어아트작가를 위한 배급과 상영시스템: 해외미디어아트 아카이브기관과 영화제
12강  Cine + Media Art 최근 추세: EMAF 2007, MOMA in NY, Whitney Museum Mobile Cinema

미 술평론가, 전시기획자, 중앙대 영화영상이론전공 박사과정 수료, SICAF 2005 영화제 프로그래머, 월간미술 LA 해외통신원, 브래인팩토리 객원큐레이터, SF(soul of the future), Cine+MA: Animation @ New Media Art 전시기획,Cine+MA 커뮤니티 운영.
posted by maetel
posted by maetel
11. 실천으로서의 노이즈


노이즈란 무엇인가?
noise
bruit [Fr]
ambient (<-공간적 개념을 상정하고 있음)
소음
잡음

* Her Space Holiday


 몇 가지 관점: 각 관점에서 얻는 것들이 있다.
1) 음향적 관점
- 이분법(dicotomie) - 시끄러운 소리 vs. 조용한 소리
- 주변의 소리 ambient : 기계공학이 기반하고 있는 '쇠의 소리'
- 나의 청각이 대면하고 있는 세계
> 결국 노이즈는 나의 청각적 관점에서 본다면 세계의 다른 이름
> 내 청각의 생활세계 (lebenswelt de mes oreils) 다시 말해 청각의 지평(horizon)

* 브라이언 이노 Brian Eno - ambient music을 주창
앨범 <music for airport> (mid 70')


2) 음악적 관점
- 이분법 - 음악적인 소리 vs. 비음악적인 소리

* Squarepusher

- 아름다운 음악이란 무엇인가?
: 마리네티 Marinetti, the italian futurist, 미래파 선언('manifesto futurist) (1992)
Marinetti already expresses this attitude in the 'manifeste futuriste', as he says something like that "we praise (...) various polyphonic oscillations of modern capitol,
the vibration of overwhelming electric products, of the construction field(공사장) under the moonlight." They are the ones who (consider?) sound as music, not music as sound.

ref. Filippo Tommaso Marinetti
http://en.wikipedia.org/wiki/Filippo_Tommaso_Marinetti
http://www.artcyclopedia.com/artists/marinetti_filippo_tommaso.html


* Luigi Russolo

* 1950s 구체음악 Pierre Schaeffer

> 이미 음악과 비음악 사이의 경계는 무너졌다.
eg. 영화음악, 음악을 사운드의 일부로 (대사에 양보)

> 돌이켜보면 음악은 늘 당대의 음악적인 소리를 넘어서는 비음악적인 소리들의 문제제기였다. (eg. 베토벤의 교향곡) 당대에 합의된 음악적인 소리 너머에 있는 소리가 노이즈라 정의된다.


3) 노이즈라는 말의 관용적 사용
- '잡음을 일으켰다'
- 디지털 노이즈: 프로세싱 과정에서 생기는 예기치 않은 데이터에 의한 우발적 결과
- 시스템이 일으키는 예기치 않은 어떤 결과/오브제/사실


4) 의미론적 관점; 실천으로서의 노이즈

cf. 소쉬르의 기호론적 삼각형
signifie(기의) - signifiant(기표) - referent(reference; 실체/대상)
-> signifie와 signifiant의 관계는 자의적/임의적 arbitrary이라고 주장. (eg. 레비트로 <슬픈 열대>)

ref. Ferdinand de Saussure


- 필터: 발화(enonciation)의 순간에 존재하는, 기표- 기의의 투명한 지시 관계에 간섭하는 수많은 간섭 요소들
- 필터링:
단일문화 사회: 필터의 철거를 지향
다수문화 : 필터링된 다양한 의미론적 대상 공존
- 노이즈: 당신의 의미론적 지형 horizon sementique 혹은 이해가능성의 지형 horizon of understandability 저쪽에 존재하는 소리
- 스크래치: 한 사회의 사회적 콘센서를 일시적으로 혼란에 빠뜨리는 필터링된 노이즈


노이즈의 운동성을 보여 주는 몇 단계:
들리지 않는다(가정권 바깥) -> 무의미하게 들린다 meaningless(의미론적 지형 바깥) -> 스크래치로 작용한다 -> 공존한다

* indie - 가청권 바깥에 있는 노이즈로서의 음악.
> 이렇게 되면 소수성은 중요하지 않다. 문제의식을 갖는 순간 노이즈가 시작된다. ^^

* hospitality 환대
* performativity 수행성


Mogwai  http://www.mogwai.co.uk/
http://en.wikipedia.org/wiki/Mogwai_(band)
http://www.matadorrecords.com/mogwai/  -> Listen!


posted by maetel

8. 팝의 역사와 하위 문화의 흐름




연대

1950

1960

1970-80

1990

시대적 특징

pax americana

consumer frenzy

맥카시즘 (cold war)

anti-war

3rd world - mao

counter culture

68

oil shock

불확정성

party's over

watergate

global

internet

local

AIDS

세대

beatnik

teenage

baby-boomer

hippy

punk

rave

clubber

keywords

body pleasure

youth culture

love

peace

free sex

psychedelic

black is beautiful

punk

pleasure

violence (자학적)

subculture (piercing)

feminism

pop

network

nomad

익명

safe sex

rave

남성 우월

남녀 구분 모호

전도

유희

icon

Elvis Presley

James Dean

Bob Dylan

Beatles

Jimi Hendrix

sex pistol

시대적 icon 부재

음악

rock'n roll

jazz

psychedelic rock

free jazz

punk disco

house techno

악기

전기기타

acoustic base

drum

saxophone

electric guitar

electronic keyboard

electric quitar

drum machine

synthesizer

turntable

소리

dynamic

굉음

violent

danceable

danceable

전자 소음

매체

radio

movie

TV

single

TV

LP

amp

MTV

LP

club

fanzine


internet

club

불특정한 locality

amphetamin

LSD

피임약

heroin

cocaine

ecstasy


posted by maetel

7. 사운드 트랙 - 어둠 속의 그 소리: 영화음악론 서설

음악 외의 장르, 예를 들어 ‘영상 매체’를 이용하는 장르들이 음악에 미친 영향, 그 장르들의 대중적 영향력 때문에 음악이 어떻게 재텍스트화되는지 살펴보고 아울러 기능음악들을 만드는데 디지털한 환경이 얼마나 중요한지도 알아본다.


감상용이 아닌 시그널로서의 음악 -- '쓰이는 음악' -- 이 그 어느 때보다 범람

ref.
<영화음악 - 현실보다 깊은 소리> 성기완

녹음 - 기계식/자기식/광학 녹음

synchronization : 비디오 트랙과 사운드 트랙이 동시에 흐르도록 맞추는 것 = 동기화


사운드트랙 - 말(대사)/효과음/음악

사운드의 일부로서의 음악 -> ambient
eg. Brian Eno

'통속'에 대한 이해/이용/구현 => 음악이란 당대의 소음의 재구조화 reconstruction이다,

eg. <블레이드 러너> 사이보그가 해리슨 포드를 살린 - 빗소리, 음악, 기적소리



음악

효과음

리듬 (수직)

비어 놓음

빗소리

멜로디 (수평)

신서사이저의 단선율

비어 놓음



Blaxploitation    http://en.wikipedia.org/wiki/Blaxploitation

visual이 의외로 특정한 의미를 제공해 주지 않고 neutral하며, 보는 사람의 해석에 달려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오히려 sound가 분위기와 스토리의 실마리를 제공하는데, 이 또한 기존의 아카이브에 의해 교육된 선입관에 종속되어 있다.
=> 영화음악은 음악을 텍스트로 취급한다.

영화음악은 영화 제작의 포스트프로덕션(녹음, 편집) 과정에 속.

cf.
마돈나의 예처럼 애초에 비주얼로 리프로덕션할 것을 고려하여 만들어지는 음악도 있다.
원래 뮤직비디오는 80년대 초반 홍보 수단으로 등장. (CD의 보급과 함께 MTV를 통한 광고)
=> 광고, 다큐멘터리(극이 아닌 음악가 자신)이기도 극영화이기도(음악가가 캐릭터로)

posted by maetel
아트센터나비 2006년 봄 아카데미
뉴미디어 예술사회학

7. 창작과 소비, 제로섬 게임 혹은 윈윈(Win-Win) 게임?



이미지 + 문자의 결합


르네 마그리트 <이것은 텍스트가 아니다>를 푸코가 비평


배식한 [인터넷, 하이퍼텍스트 그리고 책의 종말]




8주/9주/10주 - 팀 별 사례연구 발표

11주/12주 -  결론: 예술의 탈 신비화 - 해체? 혹은 확장?





posted by maetel
"The Death of the Author"
by Roland Barthes (from Image, Music, Text, 1977)

http://faculty.smu.edu/dfoster/theory/Barthes.htm


http://www.ubu.com/aspen/aspen5and6/threeEssays.html#barthes

(aspen 1967)



Writing is the destruction of every voice, of every point of origin.
: The voice loses its origin, the author enters into his own death, writings begins.

A fact is narrated with a view to acting intransitively on reality, finally outside of any function.
> It is that I see. It is not that I see it.
: 수렴적 탐색이 아닌 확산적 탐색 > 의도의 소멸

It is language which speaks, not the author; to write is, through a prerequisite impersonality, to reach that point where only language act, 'performs', and not 'me'.

The novel ends when writing at last becomes possible.







posted by maetel
6. sequencing과 sampling - 반복의 미학

실제로 시퀀싱, 샘플링을 통해 어떤 음악이 만들어지는지 들어 본다.

review ---
enregister

record

synthesizer - 통합

midi system - 악보를 대체
: 디지털 악기간 디지털 악기와 프로그램 간의 소통 체계, 프로그램 안에서 디지털 악기를 편집하는 체계
: sampling(표본화)과 quantizing(양자화)을 통해 아날로그를 불연속적인 디지털로 대체

plug-in
: source에 effect를 가해 전혀 다른 음악을 만들어 냄


Cubase SX3
제조사 제품 페이지:  http://www.steinberg.net/35+M52087573ab0.html
포럼: http://www.cubase.net/

cp.
Nuendo
제조사 제품 페이지: http://www.steinberg.net/89+M52087573ab0.html
포럼: http://www.nuendo.com/

Cakewalk - midi sequencing 위주
http://www.cakewalk.com/

>
기존의 고전 음악과는 달리 일상의 소음 등 배제시켜 왔던 소리들도
정교하게 연주된 악기 소리와 마찬가지의 동등한 지위를 획득하며 통합되었다.

>
bedroom musicians의 지극히 내성적인 내면을 재현한다.

eg.
Kinetic ATOM
Lali Puna 랄리 푸나
Daft Punk

track : 각각의 layer들이 시간을 따라 달리는 경로
channel : track들이 외부로 나가는 통로

>
이렇게 만들어진 디지털 소리를 아날로그 매체에 쏘았다가 다시 디지털 편집기에서 받는 방식으로
소리의 윤기, 자연스러움을 더할 수 있다.

>
open source: 디지털 음악의 원 트랙을 공개함으로써 새로운 편집, remix를 허용

ref.
미디앤사운드

posted by maetel
아트센터나비 2006년 봄 아카데미
뉴미디어 예술사회학

6. 인터랙티비티: 신화 혹은 현실? (2)



브레히트 "소격 효과"
[관객 모독]



Foucault
미셸 푸코 [미셸 푸코의 문학 비평]  (김현 번역)


posted by maetel
5. 전자악기, MIDI, 디지털 오디오

송현주
동아방송대 음향제작계열



전자악기
전자악기: 물리적 진동(역학적 진동) 없이 전기적 신호의 진동을 만들어 냄으로써 오디오 신호를 만들어 내는 악기

cf. 전기악기는 물리적 진동을 바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신호를 만들어 내는 악기
eg. 전기 기타 electric guitar (NOT electronic guitar 전자 기타)

> 19c 말부터 전자악기의 개발이 시작됨
- Telharmonium, Theremin, Ondes-Martenot

- Hammond Organ
: 1935년 만들어짐. 톱니바퀴에서 전기적 신호를 끌어내는 전자 오르간. (-> 1960-70s 록음악)

- RCA Synthesizer I,II
: 거대한 초기 컴퓨터(애니악)에 버금가는 악기

- Music I-V Software 등
: 컴퓨터에서 음악을 만들어 내는 C Sound의 전신과 같은 소프트웨어


Moog Synthesizer (무그/모우그)
Robert Arthur Moog (1934-2005) -
기존의 최초로 상용화된 전자 악기 1963년 시제품 개발
1964년 AES  (오디오 기술자 협회)에서 발표

감산합성법 Subtractive Synthesis (현재 대부분의 신시사이저가 채택하고 있음) 적용


감산합성법의 원리
VCO =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 배음이 아주 많은, 풍부한 음을 발생시킴

VCF = Voltage Controlled Filter
: 원래의 음에서 원하지 않은 음을 잘라냄 <- 이 때 감산합성법이 적용
(cf. 하몬드 오르간은 가산합성법을 사용했음)

VCA = Voltage Controlled Amplifer

LFO = Low Frequency Oscillator
: variation 변수를 만듦
-> 5Hz 정도를 VCA에 걸어 비브라토를 만들거나 VCF에 걸어 트레몰로를 만듦

Envelope Generator: 사람이

1) VCO를 사용하여 배음이 많은 파형을 발생
2) VCF로 원하는 스펙트럼을 만듦
3) VCA로 원하는 음량 포락선을 만듦

: 배음구조음량 포락선이 음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이론에 바탕을 둔 방식

eg. Moog 55 (:모듈 방식)
: progressive rock, John Cage
: 일반인이 사용하기에는 너무 힘든 거대하고 복잡한 악기

eg. Minimoog

* 앨범 <Switched-On Bach>
1968년 Walter(Wendy) Carlos
이 앨범이 계기가 되어 미니무그가 예술음악과 대중음악 양쪽에서 각광을 받기 시작
=> 1990s electronica의 씨앗



한국에서 최초의 신서사이저의 사용
- 1974년 '별들의 고향' OST
: 오리엔트 레코드, 나현구 사장(프로듀서, 엔지니어: 서울대 공대 졸업), Minimoog와 Strings Synthesizer 사용

- 별들의 고향 A (Noise Generator 사용), 별들의 고향 B, 별들의 고향 C. 별들의 고향 D

- 이장희, 동방의 빛 (밴드: 기타 강근식, 키보드 이호준, 드럼 유영수, 베이스 조원익)

대중음악이 이렇게나 실험적이라니!
신중현 역시 개인만의 천재성이 아니라 시대의 산물이었나?
요즘과 정~말 비교된다.


전자악기를 생산하는 여러 회사의 등장
- The Mellotron, 1963
: 샘플러의 아날로그 버전
eg. Smashing Pumpkins

- Roland, 1972

- The Synclavier, Korg, 1975
Yamaha, 1976

- Oberheim, 1978
Fairlight 1979

- Emu Systems, 1981
Akai, 1984

- Kurzweil, 1983
: 최초로 샘플러 개발
: 음원을 램에 저장하여 디지털화된 것을 재료로 사용

- Sequential Circuits
: MIDI 규격 개발에 기여



디지털 신서사이저의 등장
> 1983년 Yamaha - FM 방식(기존의 감산합산법이 아닌)의 DX7 개발
: 최초의 디지털 방식의 신서사이저

> FM방식은 John Chowning이 개발

> Sequential Circuit과 협력하여 MIDI 규격 개발에 공헌 (1983년)

> 1983년 Kurzweil - 최초의 샘플러 K250 개발.
기존의 악기소리를 디지털 방식으로 녹음하여 음원으로 사용



MIDI
=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1983년 규격 제정
: Sequential Circuits와 Yamaha가 주도적 역할
Sequential Circuits의 Prophet과 Yamaha의 DX7이 최초로 MIDI를 연결하는 시연 모델

: 전자 악기의 연주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전달하는 통신 프로토콜
: 현재는 악기의 연주 정보뿐 아니라 음향, 영상, 조명 등 공연 관련 장비를 제어하는 통신 프로토콜로 널리 사용됨.



MIDI의 등장에 따른 변화
긍정적 효과>

1) 전자악기 간에 연주 정보 등을 주고 받음으로 인해 제조사와 모델의 차이를 뛰어넘는 상호 통신이 가능해짐.

2) 연주를 비롯한 공연 관련 장비를 디지털로 제어하는 것을 가능케 함.
: 자동화/변형 용이

3) 오디오 리코더가 아닌 일종의 악기 연주 레코더로 기능함.
: 녹음/편집에 혁명적 변화

부정적 효과>

1) 연주 정보의 규격화에 따라 이를 표현하는 자유도의 저하.
건반악기(피아노) 중심의 연주 정보만 비교적 완전하게 처리됨.
연주 정보가 획일화되고 인공적인 결과를 만들어 내는 부정적 효과가 나타남.

2) 악기 구성 및 음색도 획일화되는 경향이 나타남.



디지털 오디오
- 디지털 신호처리 기술 및 반도체 기술을 포함한 전자공학의 발전에 힘입어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로 표시하는 기술이 발전됨.

: Sony와 Philips 사가 공동개발한 DAT와 오디오 CD가 디지털 오디오 장비의 시작.



디지털 오디오 신호
- 디지털 신호는 함수가 있을 경우 독립변수, 종속변수 모두 불연속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의미.

독립변수(시간)를 불연속적으로 처리: (전압과 음압을) 표본화 (sampling)
종속변수를 불연속적으로 처리: 양자화 quantizing


표본화 sampling
: 표본화는 독립변수(시간)을 불연속적으로 처리(관찰)하는 과정

* 1초에 관찰하는 횟수 = 표본화 주파수 sampling frequency

표본화 정리 sampling theorem
: 표본화 주파수는 처리하고자 하는 신호의 주파수보다 최소 2배 이상이 되어야 한다.
=> 가청 주파수가 20kHz 이내임으로 44 ~ 48kHz가 자주 쓰임

양자화 quantizing
: 양자화는 종속변수(전압)을 불연속적으로 처리(관찰)하는 과정

* 몇 단계로 세밀히 관측하는가를 결정하는 변수 = 해상도 resolution

- 디지털 처리는 통상 2진법으로 처리 -> 해상도를 결정하는 것은 비트(bit)수
: 비트가 n인 경우 해상도는 2n

Dynamic Range 처리할 수 있는 신호의 범위 = 6.02 X n (+ a) dB


eg. 16bit  --(X 6)--> 96dB
: 오케스트라에서 가장 큰 소리와 작은 소리의 차이가 90bit 정도가 된다


Discrete Sampled Signal =(Quantizing)=> Digital Signal


디지털 신호의 품질
: 표본화 주파수와 비트 해상도가 기본적으로 결정짓는다.

표본화 주파수 - 얼마나 넓은 주파수 범위를 처리할 수 있는가를 결정
비트 해상도 - 얼마나 넓은 크기의 변화 (Dynamic Range)를 처리할 수 있는가를 결정



디지털 기술과 음향기술의 발전
(1
-1) 신서사이저는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
예외적으로 1990년대 들어 복고적 경향이 나타나면서 과거 아날로그 신서사이저가 재등장하기도 함.)

-2) 샘플러와 신서사이저의 개념 구분이 불확실해짐
eg. Kurzweil(한국 회사)의 K-2000 시리즈

-3) 하드디스크 레코더의 등장
: 저장 매체의 변화 -> 편집 방식을 비롯한 작업 방식의 변화 (순서를 따르지 않고)

(2
-1) MIDI 시퀀서와 오디오 레코더 (하드 디스크 레코더)가 컴퓨터 상에서 통합된 환경으로 형성됨

-2) 하드웨어 전자악기 및 음향장비는 통합된 환경의 플러그인 형태로 전환
: 전향 컴퓨터인 전자악기가 아닌 일반 PC에서 소프트웨어로 음향 제작이 가능해짐

-3) MIDI 시퀀싱, 오디오 레코딩, 전자악기 등이 컴퓨터 상에서 통합된 프로그램 또는 상호 연동이 가능한 형태로 존재



디지털 기술과 뉴미디어
New Media = 기존의 미디어 기술과 디지털-컴퓨터 기술이 결합한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미디어

- 생산력의 발전이 생산양식을 규정

뉴미디어의 속성>
- 수표 현성 - 수로 표현됨
- 모듈 방식 - (프로그래밍에서의 이야기였나?)
- 자동화 - 생산물을 제작/유통하는 과정의 자동화
- 가변성 - 하나의 생산물이 여러 형태로 존재 가능
- 전이성 transcoding - 문화적 결과물을 관리/평가하는 태도가 컴퓨터 프로그래밍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짐

: 뉴미디어의 속성은 현재 음악 생산 환경에 영향을 주며, 이는 생산물의 성격에도 부분적으로 변화를 끼치고 있는 현재형.



posted by maetel
아트센터나비 2006년 봄 아카데미
뉴미디어 예술사회학

5. 인터랙티비티: 신화 혹은 현실? (1)


아리스토텔리스 [시학]
plot: '시작-중간-끝'의 완결된 structure
       - 작가가 일방적으로 완성품을 제공
episode: performance. 관객의 반응 - 축제의 상호작용
       - 작가는 하나의 재료를 던지는 역할


발터 벤야민
이야기꾼 (의사소통으로 조언자의 역할) vs. 소설가 (이미 멀어진 존재)
    eg. 이미륵 [압록강은 흐른다]
       
- 이야기: 사물의 실체가 아닌 보고자의 삶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것.
- 소설
        
- 19세기의 뉴미디어 - 사진

Walter Benjamin [기계복제시대의 예술작품들]
- 예술의 새로운 가능성
: "복제" - 예술작품의 시간적, 공간적 현존성, 유일무이성 Aura 파괴

전시가치
- "frame"이 중요해짐
- 용도가 중요해짐 (사용자의 상황, 조건)


1960s 프랑스 예술영화 - 작가주의

누벨바그 (New Wave) - 트리풔, 고다르 등
    "카메라(감독)를 만년필(작가)처럼 써라."



posted by maetel
The Myth of Interactivity or the Interactive Myth?
: Interactive Film as an Imaginary Genre

Kristoffer Gansing
kristoffer.gansing@k3.mah.se

Melbourne DAC 2003

> the relationship between narration and interaction design
> to pinpoint different structures of control that form criteria for the supposedly liberating interactivity




posted by maetel
4. DJ로서의 작가 (2) - Layering


롤랑 바르트의 layer
롤랑 바르트의 text layering이 기존의 복합적인 형식의 텍스트들과 다른 점은
고유의 텍스트가 수미상관된 전체적 구조 속에 기능을 하고 있다면,
바르트의 텍스트들은 각기 개별적인 방향성을 가지고 서로 충돌하며 독립적으로 진행된다는 것이다.

: '바르트의 페티쉬' - text의 layers look

바르트: "지식의 역사는 상이한 언어들의 파동의 흐름이다."


현대의 대중음악 속의 layer
layers => context  


Layer?
패션 - layered look
미술 - Adobe의 Photoshop의 layer 개념
eg. 뒤샹 - 모나리자 패러디 (다 빈치의 모나리자를 하나의 layer로 상정했다는 점이 기발)
eg. Manray


Layer와 병치 Juxtaposition
eg. 콜라주, 다다이즘, automatisme 자동기술 (무의식의 본질을 재현)
(병치는 시의 기본 방식)

1) 병치는 겹을 생성하지 않음 - 깊이의 결여

2) Layering은 심층이 있으며 Layer들간의 표층과 심층의 올라가고 내려가기, 교차들이 운동감을 생성

3) 현대적인 Layering의 특징은 고전적인 layers들간에 상정되어 있는 순서의 논리를 깬다.

4) 이러한 의미의 layering은 시인들이 기본적인 해 온 것들이기도 하다.
T.S. 엘리엇 : 시는 "objective correlative" 객관적 상관물
피에르 뤼비지에르 : 이미지들 사이의 거리가 멀면 멀수록 에너지는 폭발한다
랭보: <모음들>


5) 존재와 비존재의 상징적 재현

그렇다면, 쓰는 사람/만드는 사람 입장이 아닌 독자의 입장에서 해석은 어떻게 되는가?
상정된 논리, 기존의 방법론을 깨는 것이라면
1. 열린 해석이 가능하다는 이야기?
2. 해석력의 문제 - 아는 사람만 알아들어라는 이야기
3. 의미론적 simentic 내용의 문제가 아니라, 새로운 형식/시도라는 의의 자체가 중요하다는 교훈?



Layer와 Track
layer :추상적 / track :구체적

track = 각각의 layer들이 달리는 시간적 자취
-> 한 track은 한 layer의 "반복"


음악은 문학이나 미술과는 달리 훨씬 더 형식을 필요로 하는 장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정말로 각각의 track/layer 사이에 아무런 규칙/논리가 없다고 볼 수 있는가?
그런 식으로 음악이 만들어지는 것이 가능한가?



eg. Towa Tei [Technova]

6) 청자가 그 context 맥락의 하나의 요소 element 로 들어가는 것에서
브레히트 식으로 말하면 일종의 '거리두기'를 통해 스스로를 낯설게 보기를 가능하게 한다.



감각적인 만족감을 얻는 방법은 각자 다르다.
형식에 대한 도전을 거듭해 온 특히 포스트모던 이후의 지적 탐험은
그러한 시도에 대해 진정한 미적 쾌감을 얻는 사람들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이에 반해 내재적인 simentic한/순수한 authentic에 기준을 두고 또는 감가적인 끌림을 얻는 사람들은
형식적인 맥락은 논리적인 해석의 소재이지, 감동을 느끼는 데 고려되는 요소는 되지 않는다.
적어도 나는 그렇다.

즉, 즐기는 방식이 다르다.

posted by maetel
아트센터나비 2006년 봄 아카데미
뉴미디어 예술사회학

4. 새로운 갈등, 투쟁, 통제



To Marketize Internet
거래 행위를 은폐하고, 표면적으로는 문화 산업인 듯 가장


Joseph Turow
- Digital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이메일/휴대폰으로 개인 맞춤화된 정보 송신
        eg. gmail 광고/검색 이메일
- Walled Garden
    : 특정 고객의 정체성에 맞춤
- Interactive TV
    : 시청 유형, 패턴 분석 -> 맞춤화된 프로그램, 광고, 쇼핑


eg. missy USA (커뮤니티)


"Identity Industry"


"Infrastructual Imperialism"
: 컨텐츠가 아니라 그것이 전달되는 구조가 더 중요하다.


저작권 vs. Fair Use

선택의 폭, 사용자의 권한 제한


posted by maetel
3. DJ로서의 작가 (1)


롤랑 바르트
(에꼴 노르마;사범)고등사범대학 출신이 아님.
'현장 비평가', 기호학자, 구조주의자
1960s '작가는 죽었다'
텍스트 레이어링 Text Layering - 다양한 성질을 지닌, 따라서 그 맥락이나 발화의 상황이 다른 여러 텍스트들을 엮는 방식
:이론가 바르트, 자료체를 조사하는 바르트, 내러티브를 따라가는 바르트

<모드의 체계>(동문선) : 패션의 현상들을 기호학적으로 해석
저자가 '자료체/채?' 안으로 들어가 버림.

<저자의 죽음> : 꼴레주드 파리에서의 강의록

<사랑의 단상> (외대 김희용 번역) : '의미의 유혹을 저지하기 위해' 절대적으로 무의미한 사전의 방식을 택했다고 함.
: 잠언집, 소설 작품 인용 => 자료체
- 1인칭 주인공 시점의 연애 소설을 사전의 방식으로 이야기하고 있다는 느낌을 줌.
- 사전 / 비평문 / 일기의 3층위의 레이어들 사이의 상호작용
- 현실은 텍스트(기호)이다.


ref.
문학 판


Layers => context 맥락

posted by maetel
아트센터나비 2006년 봄 아카데미
뉴미디어 예술사회학

3. 뉴미디어의 잠재력


뉴미디어 = internet

매스미디어 = 평균의 미디어
    eg1. 여론 - 정치적 정당성
    eg2. 광고


수잔 반즈: "인터넷은 대중매체에 대한 완벽한 해독제"  -> narrowcasting

Vilfredo Pareto:  20/80 법칙의 붕괴

Chris Anderson: Long Tail Economy
    인터넷: 거래비용 절감 -> 틈새시장 (Niche Market)
    * Mass Customization



Information = In 진행 + tio 행위 + forma 형태
인포르마티오 : 일정한 형태가 이루어져 가는 과정

Thayer: "인간은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속에서 인간으로 형성되어 간다."

McLuhan: "미디어는 메시지다."

정보의 생산, 교환 - 소비 양식의 변화 => 주체성의 구성 자체에 변화를 초래



<커뮤니케이션과 자아의 형성>
George Harbert Mead [상징적 상호작용론]
    - 'Generalized Others' 일반화된 타자
    - 준거집단 (표준 준거집단 / 비교 준거집단)

Erving Goffman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 인상관리 Impression Management
    - front stage and back stage


  
인터넷의 문제 - 정보의 과잉, 다양성, 불확실성

Gergen [The Saturated Self]
: 다양한 시각 -> 가치체계 불안정
    - 정보접근성 용이성 확대 -> virtual space의 확대 : 실제-가상 경계 붕괴
    - 매개된 경험 mediated experience -> the social(사회적인 것)의 축소

Baudrillard [시물라시옹]
: "매체들은 사회적인 것을 없애 버린다."

Strate
'완전한 통제감'

Sproull & Kiesler: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잊는다."


How to Reduce Uncertainty?
(1) 다시 권위로
(2) 하위 공동체 - 취향 공동체
    eg. Serpentelli: 해커 문화 - 서로에 대한 관용과 급진적 개인주의에 대한 배려


posted by maet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