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Leeway is... the freedom that someone has to take the action they want to or to change their plans.
maetel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total
  • today
  • yesterday

Category

(상자 안의 내용은 본문을 요약 정리하기 위해 내 맘대로 변경한 문장들임)

머리말
9쪽
독서를 할 때 최소한 그것의 중심축은 역사의 고전적 범주들(구조적 형태)을 벗어나야(역사적 총체성) 한다. (이 역사는 사상사와 문학사는 물론이고 무엇보다도 철학사까지 포함하는 것이다.)

(구조적 형태와 역사적 총체성이라는) 두 개의 주의 형태들을 결합하여, 텍스트와 텍스트의 역사적 위상의 문제, 그리고 이 텍스트에 특유한 시대와 공간의 문제를 되풀이하여 다루게 된다.

(텍스트에 특유한 시대와 공간은 일관되게 하나의 텍스트로 구성된다.) 그것이 시대 그 자체로서 독해 가능성의 가치들과 모델의 효율성을 간직하고 있다. (또 그렇게 하여 직선의 시간이나 시간의 직선을 뒤흔들고 있다.)


시론
범례
루소 [언어기원론]
Jean-Jacques Rousseau, <Essai sur l'origine des langues> (1781)

    이 책의 영역본(Essay on the origin of language)과 Johann Gottfried von Herder의 <essay on the genesis of the faculty of speech>의 합본 [On the Origin of Language]

명제
시대 'epoque
레비 스트로스



제사(題詞)
13-14쪽
로고스 중심주의는 표음 문자의 (가장 독창적이고 가장 강력한 민족 중심주의에 지나지 않는) 형이상학이다.

14-15쪽
1) 표음화의 고유한 역사가 감추어진 세계에서의 문자의 개념
2) (음성 언어보다 문자 언어를 하대해 온) 로고스에 진리 일반의 근원을 부여해 온 형이상학의 역사
3) 전적으로 비표음적 특징을 지닌 규약을 탄생시킨 소통 체계 내에 언제나 포함되어 왔으면서도 항상 논리적인 것으로 규정된 철학적인 개념이었던 과학의 개념 또는 과학의 과학성


사마스(태양신)
설형(楔形) 기호
루소 [언어기원론]
헤겔 [소논리학]
민족 중심주의 ethnocentrisme
로고스 중심주의
소통 체계 syste`me allocutoire : 음성적 발화 행위 없이 소통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체계
    이차적 구상
    이차적 지향의 기호 체계

에피스테메 episte'me` : 사적인 혹은 집단적 견해인 독사(doxa)와 대립되는 전문적이고 이론적인 지식 혹은 학문 (데리다는 서구 역사에서 과학적/철학적 지식이라는 의미로 이 용어를 사용함)

하이데거 '여기 있는 존재의 근본적 분석 (l'analytique fondametale de l'e^tre-la`)'에서 'immer schon 혹은 schone immer는 존재의 3차원적 구조의 과거적 차원을 나타낸다. 존재는 자신이 선택하지 않았음에도 언제나 이미 여기에 '절대적 고독' 속에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에크리튀르 e'criture : 문자, 글쓰기, 글, 서법을 함축함은 물론이고, 문자 이외의 여타 표기 수단들을 통한 소통을 내포하며, 신의 음성이 인간의 마음 속에 새긴 말씀이나 말씀을 새기는 작업, 혹은 자연이 기호가 되어 제시하는 내용도 의미한다.

그라마톨로지 grammatologie : 글자, 알파벳, 음절 구분, 독서, 글쓰기를 다루는 분야
~에크리튀르의 과학
    젤브 I. J. Gelbe [문자 언어의 연구, 문자학의 토대 A study of writing the foundations of grammatology]

17쪽
문자과학이라는 관념의 기원과 세계에 기호에 대한 일정 개념과 음성 언어(말)와 문자 언어(글)의 관계에 대한 일정 개념이 이미 부여되었기 때문에, 이 관계는 매우 한정된 관계이다.

17-18쪽
에크리튀르를 중심으로 한 사색과 탐구가 문자과학의 실증성이 개발되도록 하면서 지식의 장벽을 넘어서, 이미 형성된 정상성과 절대적으로 단절되는 위험과 기형의 형태 속에서 미래의 사유의 방황을 나타내는 것이다.

posted by maet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