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Leeway is... the freedom that someone has to take the action they want to or to change their plans.
maetel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total
  • today
  • yesterday

Category

아트센터나비 2006년 봄 아카데미
뉴미디어 예술사회학

2. 현대 예술 제도의 형성과 변화


> 예술이 상층계급과 하층계급을 잇는 매개가 되는 경우가 많다.
    eg. <플란다즈의 개>, <타이타닉>, <리플리>

> 고급문화와 대중예술에는 내적인 질이나 사회적 신분의 차이가 없다.



19c 보스턴의 시대 상황
1) 1850-1900
:엘리트들의 비영리단체(Museum of Fine Art, Boston Symphony)의 형성
    => 대중문화와 구별 (cf. 이전에는 모두 영리단체였다.)

2) 구별의 필요성
    (1) 산업화로 irish 이민자 유입 -> 기존 보스톤 엘리트의 사회적 지위 위협
    (2) 당시 연방정부, 지역 엘리트를 정치과정에서 소외시킴

3) 당시 유럽에서 예술공부를 한 하바드 졸업생들과 사업가들을 중심으로 비영리단체 조직
* 비영리단체의 문화자본 축적을 통한 사회적 위신 축적
    (1) 자체적 기업 운영
    (2) 엘리트 기부금에 의존하여 시장통제로부터 자유
    (3) 정부 및 다른 사회계층으로부터 자유
    (4) 안정성
    (5) 조직 목표의 포괄성 (<- 그람시 '헤게모니')

∴ 1) (엘리트 위주의) 아마추어적, 동호회적
       => 전문적, 권위적, 공공적, 비영리 : 고급예술과 대중문화의 구별
    2) monopoly and hegemony
       = education through distinction


고급예술과 대중문화의 내용
    from 허버트, [High Culture, Mass Culture]
- Taste Culture 취향 문화
- Taste Public 유사한 가치들과 미적 기준들의 집합


High Art

Upper-Middle Art

Lower-Middle and Lower Art

Central Actors

creators

critics

users

(upper-middle class, professionals)

users

(majority)

Central Element

form

mood

substance

plot

substance

story

character

Central Interests

abstract philosophical questions

(ambiguous ending)

social, political interests

(eg. women's liberation)

traditional values

social order

entertainment

Central Venues

small galleries

literary magazine

off-broadway theater

little interest in electronic mass media 

public TV

New Yorker (잡지)

art house theater (예술전용관)

TV

tabloid

movie theater


- Alternative Culture 대안 문화

- 취향의 구조와 사회적 구조와의 상동성
    : 취향은 단지 다를 뿐만 아니라 상호갈등적이다.
    : 상호갈등적일 뿐만 아니라 위계적이다.
<- 고급예술의 대중문화에 대한 헤게모니
    eg. 미국의 추상표현주의 (비평가 그린버그)



고급예술과 대중예술 경계의 붕괴
- 고급예술의 우위는 1980년대 신보수주의 등장 이후 점점 위협받고 있음
- 비영리예술단체들은 시장과 정치적 압력으로부터 더 이상 자유롭지 않음


> 원인
1) change in social structure
    (1) capitalism: from industrial capitalism to post-industrial capitalism
    (2) taste public: from closed elite circle to broad middle class public
    (3) the more-more principle (디마지오): 전문직 엘리트들의 취향이 고급예술에 국한되지 않게 됨

2) change in art patronage
    : from informal networks to government and corporate sponsorship
    : from authenticity to accountability  (예술의 질이 도적적 가치를 압도 -> 예산 집행의 목적으로 투명성 강조)
    : 예술이 public good이 되어가면서 국민세금의 사용처가 감사의 대상이 됨
   
    eg1. 미국 뮤지엄들 - 닫힌 엘리트 서클, 아방가르드 후원
          -> 정부, 기업, 중산층의 후원 받는 관료적 문화 기업체로 변신
    eg2. alternative space: 미국 뮤지엄들과 상업 갤러리의 보수화에 맞서 60-70년대 예술가들이 직접 운영. 정부 펀딩에 의존하면서 비지니스 센스를 지닌 조직으로 변화
       eg. alt-in general, chinatown, etc
       => '예술경영학'의 시발

3) domination of market force: pressure of growth
    (1) 예술단체들의 확대, 경쟁 심화. 외부 지원금 의존도 심화
       -> 재정적 독립성의 필요성, 수익성, 시장성 강조
    (2) board of dicrectors: from supporters to fundraiser
    (3) 메이저 뮤지엄들 수입의 70%가 갤러리 샾 운영에서 나옴
    (4) executive director: from impresario (정신적 지도자) to administrator (경영자)

4) diversification in production -> innovation and crossover
    : 고급예술원의 약화 & 시장 확대 -> 수요 창조를 위해 기존 하위문화, 대중문화적 요소들이 주류문화에 차용됨
    eg. 대안적 영화제 - showcase

* subculture가 maniac의 전유물에서 대중시장에서 매력 있는 코드로 자리를 잡으면서


결론
상업문화, 대중문화가 사회적 지위, 정체성, 구별의 소스로 변화
: 더 이상 고급예술이 구별을 통한 권위 행사를 못 함.

    (1) 문화 생산자들: from tastemaker to trendmaker
    (2) 문화예술 기관들: from gatekeeper to marketer or promoter
    (3) 예술: from art to fashion

eg. 과시 소비 -> 브랜드나 유행 아이템 중의 detail을 예견하는 (대중의 공통점 중에서 유행할 가능성을 알아보는) 능력

∴ 이제 예술의 자율성은 system 안에서만 가능하다



posted by maet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