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 4. 13. 23:34
Literacy/심보선: 뉴미디어 예술사회학
아트센터나비 2006년 봄 아카데미
뉴미디어 예술사회학
5. 인터랙티비티: 신화 혹은 현실? (1)
아리스토텔리스 [시학]
발터 벤야민
1960s 프랑스 예술영화 - 작가주의
누벨바그 (New Wave) - 트리풔, 고다르 등
"카메라(감독)를 만년필(작가)처럼 써라."
뉴미디어 예술사회학
5. 인터랙티비티: 신화 혹은 현실? (1)
아리스토텔리스 [시학]
plot: '시작-중간-끝'의 완결된 structure
- 작가가 일방적으로 완성품을 제공
episode: performance. 관객의 반응 - 축제의 상호작용
- 작가는 하나의 재료를 던지는 역할
- 작가가 일방적으로 완성품을 제공
episode: performance. 관객의 반응 - 축제의 상호작용
- 작가는 하나의 재료를 던지는 역할
발터 벤야민
이야기꾼 (의사소통으로 조언자의 역할) vs. 소설가 (이미 멀어진 존재)
eg. 이미륵 [압록강은 흐른다]
- 이야기: 사물의 실체가 아닌 보고자의 삶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것.
- 소설
- 19세기의 뉴미디어 - 사진
Walter Benjamin [기계복제시대의 예술작품들]
eg. 이미륵 [압록강은 흐른다]
- 이야기: 사물의 실체가 아닌 보고자의 삶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것.
- 소설
- 19세기의 뉴미디어 - 사진
Walter Benjamin [기계복제시대의 예술작품들]
- 예술의 새로운 가능성
: "복제" - 예술작품의 시간적, 공간적 현존성, 유일무이성 Aura 파괴
전시가치
- "frame"이 중요해짐
- 용도가 중요해짐 (사용자의 상황, 조건)
: "복제" - 예술작품의 시간적, 공간적 현존성, 유일무이성 Aura 파괴
전시가치
- "frame"이 중요해짐
- 용도가 중요해짐 (사용자의 상황, 조건)
1960s 프랑스 예술영화 - 작가주의
누벨바그 (New Wave) - 트리풔, 고다르 등
"카메라(감독)를 만년필(작가)처럼 써라."
'Literacy > 심보선: 뉴미디어 예술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Death of the Author (by Barthes) (0) | 2006.04.26 |
---|---|
[심보선] 6. 인터랙티비티: 신화 혹은 현실? (2) (0) | 2006.04.20 |
The Myth of Interactivity or the Interactive Myth? : Interactive Film as an Imaginary Genre (by Kristoffer Gansing) (0) | 2006.04.13 |
[심보선] 4. 새로운 갈등, 투쟁, 통제 (0) | 2006.04.06 |
[심보선] 3. 뉴미디어의 잠재력 (0) | 2006.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