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라는 개념은 최근의 음악적 실천을 하는 작가의 행위를 광범위하게 포괄하는 면이 있다. 처음에는 작가라기보다는 ‘음반을 트는’ 일종의 오퍼레이터의 개념이었지만 그것이 작가의 지위를 획득하게 된 과정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음악이 어떻게 재정의 되는지 가늠해 본다. 또한 음악 바깥의 장르에 DJ라는 개념이 적용될 가능성도 타진.
DJ란?
- http://en.wikipedia.org/wiki/DJ
- http://www.djforums.com
(1) 초기
-음악을 튼다 (cp. 음악을 연주한다)
튼다 -> 한다
- 많이 안다
- 소개한다
eg. Allen Freed (1950s 미국, '라큰롤')), 전영혁
- disc가 전제되어 있어야 한다
- 방송국, 음악 다방: studio - 신청곡
(2) since 1970s
- 음악을 섞는다 : cut & mix
- dance floor (1930-40s 영국 맨체스터에서 처음 등장하기는 하였으나 이 시기에는 아직 연주자들이 즉흥연주를 했다) : post-modern : mass-culture
- 2 turntables and a mixer 음악을 섞는다
: 섞기 위해서 pitch를 맞추어 준다
DJ culture
: 움츠러든, 시선을 피하는 (eg. DJ Shadow)
cp. 연주자들의 태도
- boasting (엘비스 프레슬리): 남근 과시적
- 긴 머리 - 자웅동체(안드로젠?)의 상징
- 저음과 고음의 혼합
<배경>
1950s 청년 문화(십대에 경제력) -> 1960s psychedelic ->
(1970s 초반 석유 파동) 이후, dance floor에는 '해고'의 바람이 불었다.
(-> 1980s :1988년 올림픽 이후, 베낭 여행 붐/PC 통신 문화)
dance floor의 규모가 줄고 무대가 사라진 대신 좁은 부스 하나에서 최소한의 장비만으로 가능한
연주자(밴드)가 DJ로 대체
(2) dance floor -> discotheque
: 자메이카 (고유의 sound system 1960s -> 뉴욕으로 이주)
eg. DJ Kool Herc - 동일한 두 장의 LP로 Looping : 반복적인 춤 동작과 맞아 떨어짐
(3) mix의 방식에 따라 창조성이 필요
eg. Dub syndicate (dub: 레게의 하위 장르) - 밴드 내에 DJ가 있어 delay 등의 효과를 넣어 음반을 발매
"discotheque as a bibliotheque"
- copyright의 문제
- 작가로서의 정체성 identity의 문제
- 연주/녹음의 순간의 모든 것 - 시간적 축적, 공간적 다양성을 재현 => 전집합, 총망라
- 모호성
eg. Fatboy Slim - a critic, a historian
eg. DJ spooky(?): "포스트 모던 시대의 시인"
eg. Telepopmusik - iTunes
정리> DJ = 판돌이 -> 결핍의 극복 -> 시인
ref.
http://www.jahsonic.com/DJs.html
신현준 외 <입 닥치고 춤이나 춰> (한나래)
양재영 <힙합 커넥션> (한나래) - turntablism
황성호 <전자음악의 이해> (현대음악출판사, 현대 교육 미디어)
장재호 <전자음악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F. 프리베르크 <전자기술 시대의 음악> (삼호 출판사, 세계 음악총서 42>
이석원 <현대음악: 아방가르드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 (서울대 출판부)
신현준 외 <얼트문화와 록음악> (한나래)
사이먼 프리츠 <사운드의 힘> (한나래)
Poschardt Ulf <DJ Culture> London: Quartet Books, 1998
Peter Shapiro <Modulations: A history of Electronic Music> Caipirinha, 2000
'Literacy > 성기완: 매체의 변화와 새로운 음악적 소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기완] 6. sequencing과 sampling - 반복의 미학 (0) | 2006.04.24 |
---|---|
[송현주] 5. 전자악기, MIDI, 디지털 오디오 (0) | 2006.04.17 |
[성기완] 4. DJ로서의 작가 (2) - Layering (0) | 2006.04.10 |
[성기완] 3. DJ로서의 작가 (1) - 롤랑 바르트: Text Layering (0) | 2006.04.03 |
[성기완] 1. 하이브리드 시대의 음악 (0) | 2006.03.20 |